교육명 |
교육내용 |
과정구성사유 |
- ICT 시스템 보안 전문가의 직무에 필요한 과목을 대분류로 네트워크, 서버, 언어, 정보보호론 4가지로 분류하여 직무 수행 능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 편성. - 네트워크 보안 위주의 교육에 중점을 두어 네트워크 시스템과 보안 시스템 운영에 보다 많은 수업 시간을 집중하여 편성. - 교육 전반에 대한 이해가 이뤄지면 보안시스템 운영을 통하여 네트워크 보안시스템에 대한 설계, 구축, 유지보수, 침해대응, 장기증설계획 등의 단계별 실무 능력 갖출 수 있도록 편성. |
TCP/IP 네트워크 |
보안에서 해킹의 첫단계는 네트워크이고 현재 네트워크분야에서 해킹이 이루어지고 있고 전반적인 네트워크를 알아야지만 자신이 보호하고자 하는 자원에 대해 직접적인 보호를 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배우면서 TCP/IP등의 네트워크 시스템 학습을 목표로 한다. |
ICT 운영체제 일반 |
가장 많이 쓰이는 운영체제의 기본적인 원리와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정보보호의 원리적 이해와 실습을 통한 서버운영방법 등을 학습하여 시스템 보안의 기초적 이해를 목표로 한다. |
JAVA 프로그래밍 |
객체지향 언어 중에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바 언어에 대한 기본 개념과 구현 원리, 라이브러리 및 사용법등을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습득하여, 시스템 보안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을 목표로 한다.
|
데이터 베이스 |
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DB를 만들고 설계하는 방법을 익힌다. |
정보보호론 |
실질적인 보안 업무에서 요구하는 사항에 대한 종합적인 정리를 통하여 기초적 원리와 단계를 학습하고 향후에 발생되어지는 사고에 대해 대처하고 계획을 수립을 할수 있으며, 보안 관련 자격 시험과 병행 할 수 있다. |
네트워크시스템 보안운용 |
네트워크 시스템의 해킹의 원리와 기법을 통해서 실무에서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보호 할수 있는 능력과 침해사고 발생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훈련하여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호 할수 있는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. |
ICT 시스템 운영 실무 |
각종 서버 구축 및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실제 공격을 통한 서버의 운용과 사고대응 분석 및 실무에서의 보고서 작성과 향후 발전방향등을 제시하여 본다. |